크롬캐스트 울트라, 단순 스트리밍 기기를 넘어서
작고 조용한 디바이스지만
거실 한 켠에서 일하는 역할은 결코 작지 않습니다.
크롬캐스트 울트라는 일반 모델과 다르게
4K 해상도와 HDR 스트리밍, 그리고 유선 연결까지 지원하는 업그레이드 모델입니다.
단순히 유튜브나 넷플릭스를 미러링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제대로 된 세팅과 활용법만 안다면 진짜 ‘홈 엔터테인먼트 허브’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4K HDR 콘텐츠, 제대로 즐기려면 이 기기만한 게 없습니다
크롬캐스트 울트라의 핵심은 4K 스트리밍을 안정적으로 지원한다는 점입니다.
넷플릭스, 디즈니+, 유튜브, 애플TV+ 등
4K HDR 콘텐츠가 점점 많아지는 지금,
HDR10이나 돌비 비전(Dolby Vision)을 지원하는 TV를 사용 중이라면
울트라는 TV의 스펙을 최대한 끌어올려주는 역할을 해줍니다.
단순히 픽셀 수가 많은 4K가 아니라
명암비, 색상 표현, 선명도까지 확 달라지는 화질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유선 연결 하나로 스트리밍 품질이 달라집니다
울트라 모델의 충전 어댑터에는 눈에 잘 띄지 않게
이더넷 포트(LAN 포트)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이걸 활용하면, 무선 연결보다 훨씬 더 안정적인 스트리밍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 고용량 4K 콘텐츠를 감상하거나,
무선 간섭이 많은 환경이라면
유선 연결만으로도 버퍼링 없이, 최고 품질로 감상할 수 있는 셈입니다.
TV는 그대로인데, 넷플릭스 화질은 확 달라지는 경험
스마트 TV를 사용하더라도
넷플릭스 앱에서 4K 영상이 잘 나오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럴 땐 울트라를 통해 넷플릭스를 전송해 보세요.
돌비 비전이나 HDR10 콘텐츠가 자동으로 활성화되고,
비트레이트도 훨씬 높게 유지됩니다.
TV 자체 앱보다 훨씬 나은 화질을
작은 외부 기기 하나로 보정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오케이 구글” 한 마디면 TV가 움직입니다
울트라와 구글 홈, 혹은 네스트 허브가 연동되어 있다면
이제는 리모컨 없이도 콘텐츠 재생이 가능합니다.
“오케이 구글, 유튜브에서 4K 자연 영상 틀어줘”
이렇게 말하면,
울트라는 알아서 영상 검색 → 스트리밍 시작까지 한 번에 처리합니다.
특정 앱 실행부터 원하는 영상까지 음성으로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이
단 몇 마디 말로 완성됩니다.
내가 가진 영화를 넷플릭스처럼 보는 방법, Plex
울트라의 진짜 활용은 여기서부터입니다.
Plex라는 앱을 사용하면, PC나 NAS에 있는 개인 영상 파일을 넷플릭스처럼 정리해서 스트리밍할 수 있습니다.
울트라는 고해상도 파일을 하드웨어 디코딩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일반 크롬캐스트보다 훨씬 더 부드럽고 빠르게 영상을 재생합니다.
개인 미디어 서버를 홈 시네마처럼 활용하고 싶다면
울트라와 Plex 조합은 매우 추천할 만한 선택입니다.
게임도 스트리밍 할 수 있습니다
크롬캐스트 울트라는 원래 Google Stadia를 염두에 두고 개발된 기기입니다.
Stadia는 종료되었지만,
Steam Link, Moonlight, Xbox 클라우드 게임 같은 스트리밍 게임 플랫폼을 이용하면
스마트폰이나 PC에서 실행 중인 게임을
TV로 전송해 큰 화면에서 감상하거나, 조작할 수도 있습니다.
울트라의 전송 속도와 반응 속도는 게임 플레이 환경에서도 충분히 만족스럽습니다.
디지털 액자로 가족들, 아이들의 추억 사진앨범을 계속 볼 수 있습니다.
거실 한 켠에 크롬캐스트 울트라와 모니터 하나면 추억 앨범을 무한 리플레이 할 수 있습니다.
부모님께 아이들 사진 보여드리기에도 최적의 기기죠.
추억은 Replay를 타고 지속됩니다. (관련글 링크)

처음 한 번 세팅하면, 그 이후는 손댈 게 없습니다
울트라는 한 번 잘 세팅해 두면
그 이후에는 말 그대로 ‘손 안 대고’ 사용하는 기기가 됩니다.
와이파이 설정, 4K 출력 설정,
HDR 기본값 지정,
자주 사용하는 앱 고정까지
초기 세팅을 깔끔하게 마무리하면
TV를 켤 때마다 가장 먼저 반응하는 기기가 울트라가 될 겁니다.
크롬캐스트 울트라는, 잘 쓰면 TV보다 더 똑똑한 기기가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