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카카오 애드핏 오류 해결 (심사보류 – SDK 미설치오류, Feat. AMP)

광고 유치와의 길고긴 싸움 ‘심사 보류’

애드센스의 승인 보류의 기간이 길어지면서, 점점 지치기 시작했습니다. 세상에 쉬운 일은 없군요.
꿩 아니면 닭. 너무 고민하지 말고, 세상 편하게 살아보자라고 맘 먹고 카카오 애드핏으로 눈을 돌려보았습니다.

일단 되는 곳에 시간을 투자하자. 안되는 것보다는 되는 것이 더 매력적이다. 이런 마음가짐을 갖기로 했습니다. 물론 카카오 애드핏은 승인이 난다는 전제하에서는요.

하지만, 애드센스 승인받는 것처럼, 카카오 애드핏도 초보에게는 친절하지는 않았고 초보가 알아야 할 것들이 제법 있었습니다. 뭐 세상 모든 일이 그렇죠. 노력없이 얻을 수 있는게 뭐가 있을까요?

그래도 승인만 난다면 다 좋아지겠죠.

그리고 받은 것은 바로 ‘심사 보류’ 메시지 였습니다. 제 블로그에 아직 광고 스크립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고 하네요.

광고를 설치한 이후 심사 진행이 가능합니다. 광고 설치 후 재심사를 요청하여 주십시오.” 라는 군요.
난 설치 했는데..

카카오 애드핏 오류 해결
카카오 애드핏 오류 해결

기본 지식이 필요합니다.

위에서는 신청 절차가 나름대로 어려운 것처럼 이야기 했지만, 사실 카카오 애드핏의 신청 절차는 단순합니다. 카카오 애드핏에 계정을 만들고, 블로그를 등록하고, 광고 배너를 하나 선택해서 연결해주면 끝입니다. 너무 쉽네요.

그렇게 너무 쉽다보니, 제대로 된 설명이 거의 없습니다.

아래처럼 이야기 합니다.

“카카오 애드핏은 블로그에 SDK를 설치하면 됩니다.”

아.. 네… 그렇군요. 그런데 어떻게?
이것 저것 찾아보고 나서 이해를 했습니다. 블로그에 광고 코드 복사해서 넣어라라는 이야기군요.

블로그를 수없이 검색해봤습니다. 티스트로 유저들에게는 별 어려움이 없어 보였습니다. 직접 연결해주는 위젯도 있는 것 같더군요. 하지만 전 워드프레스 사용자 입니다.

카카오 애드핏을 위한 워드프레스 플러그인은 없습니다. 직접 하나하나 고치면 됩니다.

늘 그렇듯이 Head and Footer 플러그인을 이용해서 광고 코드를 넣어주면 됩니다.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쓰시는 분들이라면 이 정도는 늘 하는 작업이라 손에 익어 있으시라고 생각합니다.

블로그에게 SDK 설치란?

말은 생소합니다만, 사실 어려운 개념은 아닙니다.

카카오 애드핏에서 광고를 등록하면 아래처럼 생긴 ‘광고 스크립트’라는 것을 줍니다.

이 광고 스크립트를 내 블로그의 광고를 넣기를 희망하는 자리에 붙여 넣으면 끝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에 다 나와 있습니다.

https://github.com/adfit/adfit-web-sdk

이것만 보고 이해할 수 있으면 99%는 다 해결이 가능합니다.

어디에 광고를 붙여 넣으라고?

워드프레스 기준으로 사이드바에 넣을 수도, 본문에 넣을 수도, 아니면 </body>태그 바로 위에 넣어도 됩니다. 흔희 Footer라고 불리는 위치입니다. 워드프레스 위젯에서 입력하면 가능합니다.

사이드바나 본문에 넣을때에는 워드프레스 편집기의 아래 블록을 사용하면 됩니다.

사용자 정의 HTML 블럭입니다.

이 블록 안에 위에서 받은 광고 스크립트를 넣어주는 방식입니다.

워드프레스로 블로그를 만들고, 소유권을 확인해 포털의 검색에 블로그를 등록하신 경험이 있는 분들은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전 워드프레스 Admin 화면에서 모양 > 위젯 > Main Sidebar에 코드를 입력했습니다.

워드프레스 위젯 화면
워드프레스 위젯 화면

광고 스크립트 넣고, 애드핏에서 심사 대기가 완료되기를 기다리기만 하면 됩니다. 간단하게 끝!

그럼 될 줄 알았어요.

네, 아주 쉽게 성공하신 분들이 대부분이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전 실패했습니다. 고생길이 열립니다. 전 늘 쉽게 넘어가 주질 않더라구요.

광고코드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심사 보류가 되었다라는 취지의 에러메시지를 근 20번을 받았습니다.
7전8기의 정신으로 계속 신청 눌러서 해결될 문제는 아니었습니다. 광고코드를 아무리 새로 받아도, html로 설치의 위치를 아무리 바꿔도 계속 에러만 났습니다.

더이상 어떻게 설치를 해야할지 모르겠는 지경이 되었습니다. 믿을 길은 검색 뿐이지만, 구글에서 몇몇 성공방법을 알려주는 블로그만 검색해봐도 다 비슷한 내용만 다룹니다. 저렇게 넣으면 됩니다. 라는 식입니다. 애초에 무엇부터 알아봐야 할지 알 수가 없습니다.

네, 전 문과생입니다. 복잡한 건 몰라요.
애드센스 이후로 포기하는 심정이 깊어집니다.

폭풍 검색끝에 얻은 것

엄청나게 검색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원인을 찾으려고 하니 일반적인 수준의 가이드는 도움이 되질 않았습니다.

여하튼, 카카오 애드핏의 광고 스크립트가 정상적으로 설치되면 아래와 같은 서비스가 로드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ba.min.js 입니다.

웹페이지에서 F12를 누르면 데스크탑 화면을 모바일 화면으로 전환해서 볼수 있다. 라는 것을 아는 게 제 웹페이지 지식의 한계였습니다. 그런데 오늘은 참 많이 눌러봤습니다.

크롬 브라우저에서 관리하시는 블로그를 열고, F12를 누른후 Network 탭에서 위의 서비스가 로드되어 있는 것을 찾을 수 있어야 합니다.

위의 서비스가 표시되어 있으면, 복사 붙여넣기 한 광고 코드는 일단 정상적으로 작동 중이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만약, ba.min.js가 로드되어 있지 않다면, 다른 표현으로 저 글자를 찾을 수 없다면, 슬퍼집니다.

바로 제 경우가 어떤 걸 해봐도 저 서비스가 뜨지 않는 경우 였습니다.

다시, 광고 코드를 살펴보면,

위의 그림에서, 아래 부분이 제대로 로드되지 않아서 생기는 일입니다.

“<script async type=”text/javascript” charset=”utf-8″ src=”t1.daumcdn.net/kas/static/ba.min.js”></script>”
이 코드를 제대로 입력하고, 뜨게 만들면 되는 일입니다.

그래서 첫번째 시도로, 블로그의 <body> … </body> 사이에 저 코드를 제대로 넣는 것부터 시작했습니다.

문제가 될 만한 것의 가설을 세우고, 대안을 실행해보고 검증하는 방식으로 하나씩 체크리스트를 지워나갔습니다.

먼저 코드가 제대로 삽입되어 있는가? Head/Footer 플러그인이 정상작동하는가?

이걸 검증해야 했습니다. 코드를 입력했어도, 제대로 로딩이 되질 않는다면 입력한게 아니니까요.
그래서 확실하게 코드를 로드해줄 방법을 찾아 헤메었습니다.

Head/Footer 플러그인 교체

워드프레스는 <Head>와 <body>에 코드를 넣기위해서 플러그 인을 사용합니다. 이 플러그인이 정상 작동을 하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새로운 플러그인으로 교체를 하고, 광고코드를 넣어봤습니다.

실패입니다.

새로운 플러그인으로 테스트를 해봐도, 저는 효과가 없었습니다.

F12에서는 아무리 찾아도 ba.min.js 는 로드되지 않았고, 광고코드도 올라오지 않았습니다.
정확히는 광고 코드는 있는데 아래 스크립트는 F12로 본 elements에도 표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script async type=”text/javascript” charset=”utf-8″ src=”t1.daumcdn.net/kas/static/ba.min.js”></script>”

Src 주소에 https:// 삽입

두번째 해결 방법으로 본 것이 위의 코드에서 src= 이후에 https://를 넣는 방법이었습니다.

“<script async type=”text/javascript” charset=”utf-8″ src=”https://t1.daumcdn.net/kas/static/ba.min.js”></script>”

사용 환경에 따라서, js 코드의 주소를 제대로 불러오지 못해 에러가 나는 경우도 있다고 어느 검색에서 보았습니다. 그래서 블로그에 올린 코드에 전부 https://를 넣어보고, 해당 링크가 연결되는 링크인지도 브라우저에서 확인해보았습니다.

브라우저에서는 연결은 잘 됩니다. 하지만, 제게 필요한 해결 방법은 아니었습니다.

function.php와 head.php 수정

어떠한 이유에서인지 스크립트가 반영되지 못한다면, 워드프레스에서 직접 코드가 담겨있는 저 두 파일을 직접 수정하여 코드를 넣어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FTP로 wp-contents 폴더 아래에 있는 테마 폴더에서 현재 사용 중인 스킨을 골라주고 그 아래에 제목의 파일들을 직접 수정해 줄 수 있습니다.

음.. 이 방법은 맨 마지막에 마지막에 시도해보세요. 머리 아픕니다.

head.php에는
<?php wp_head(); ?> 코드를 찾아서,

그 근처에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s://t1.daumcdn.net/kas/static/ba.min.js” async></script>”를 직접 넣어줍니다.

Function.php에서는
“add_action(‘wp_head’, function() {

    echo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s://t1.daumcdn.net/kas/static/ba.min.js” async></script>’;

});”

를 직접 넣어줍니다.

“add_action(‘after_setup_theme’, ‘gambit_setup’);” 이 코드를 찾아서, 그 뒤에 넣어줍니다.

네, 역시나 효과 없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렸지만, 마지막의 마지막에 해보세요.

스킨 교체

저는 Gambit이라는 스킨을 쓰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스킨 특성으로 안되는 경우도 있다하여, 많이 쓰는 GeneratePress로 스킨을 교체했습니다.

하지만, 효과가 없었습니다.

문제의 단초를 찾았다. 그리고 서비스 로드 여부 쉽게 확인 하는 법

계속적으로 위젯과 관리자 화면을 뒤지다가 새로운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위젯 실시간 편집 화면에서는 광고가 올라온다는 사실이었습니다. 그럼 스킨의 문제도, 코드 입력의 문제도 아닙니다. 무언가가 메인 블로그 화면에서 js 로딩을 막고 있다는 뜻이 됩니다.

또 한가지 F12화면에서 눈이 아파질때쯤 이 즈음에서 여러가지 비교들을 해보고 한가지 사실을 알았습니다.

위의 스크립트에서 호출한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로드가 되고, 저 스크립트가 표시된다면, 광고 연결이 되지 않아도, 광고 코드가 들어간 자리에는 카카오 자체의 광고가 표시되어야 한다는 점이었습니다.

굳이 F12를 누르지 않아도 정상 설치되면 바로 아래 박스와 같은 카카오 자체 광고들이 블로그의 코드 심은 곳에 나와야 합니다.

이런 기본적인 것들도 알수가 없어서 F12누르고 눈 아프게 서비스 올라왔는지 한줄 한줄 찾아보고 있었습니다.

보안 플러그인 재검토

이젠 거의 포기 직전까지 가고 있었습니다. 혹시나 모를 플러그인 충돌 이런거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이런 저런 글들 찾아보니, 몇몇 플러그인들이 서비스의 로딩을 막을 수 있다고 합니다.

그 물망에 오른 녀석들은 주요 보안 관련 플러그인, 캐시&최적화 플러그인, 광고차단/ 광고 삽입 관련 플러그인들입니다.

Wordfence Security, All In One WP Security & Firewall, WP Super Cache, LiteSpeed Cache,
Ad Inserter 플러그인의 일부 설정 (특히 “Disable for bots” 등), WP Content Copy Protection 등등 입니다.

제가 사용하는 플러그인도 몇개나 있습니다.

하나씩 다 꺼봅니다. 실패입니다.

AMP ! AMP! AMP!

의외의 곳에서 정답이 튀어나왔습니다. AMP (Accelerated Mobile Pages)플러그인 입니다.
구글 서치 콘솔에서도 별도로 지원하는 AMP에 대한 색인을 빠르게 가져가고, 모바일 환경에서의 로딩 속도를 올리기 위해서 설치해둔 플러그인이었습니다.

이 AMP는 외부 JS를 거의 모두 차단한다고 합니다. 호환이 되는 스크립트는 별도로 관리할 정도로 까탈스러운 녀석인가봅니다.

그런데 애드핏은 AMP 호환 스크립트가 아니기 때문에, AMP페이지에서는 광고가 출력되지 않고, ba.min.js도 로딩되지 않았습니다.

AMP 플러그인을 비활성화 시키자 위에서 말씀 드린 배너가 뜹니다.

위의 광고 배너가 뭐라고, 엄청 반갑습니다.

근 3일 동안을 시도와 실패를 반복하며 확인한 결과가 결국 플러그인 하나 때문이었다니. 허탈하기 그지 없습니다.
나의 시간은 무얼 위해…

드디어 승인을 받았습니다.

해결은 했지만, 편하진 않았습니다.

문과생인 저에겐 정말 어렵고 힘든 과정이었지만, 결국 해결하고 나니 뿌듯함이 큽니다.

알 수 없는 이유로 광고 심사가 무작정 보류되거나, 코드를 아무리 넣어도 ‘설치되지 않았다’는 오류 메시지만 반복된다면, 제가 겪었던 과정을 하나씩 따라가 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각자의 상황에 맞는 해결 방법을 찾는 데 작은 힌트가 되길 바랍니다.

카카오 애드핏 쪽에서 이런 오류 상황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인 가이드를 제공해줬더라면 좋았을 텐데… 하는 아쉬움도 남습니다.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